FIX protocol
개인적인 정리.
FIX 프로토콜이란, 주식쪽에서 주문 지시를 낼 때 쓰이는 규격이다.
자세한 내용은 https://fiximate.fixtrading.org/를 참조하자.
간단하게 내용만 간다.
8(태그) = FIX.4.3(내용) 순이다.
8=FIX.4.3 ===> FIX 프로토콜의 버전을 표시한다.
1=00128945729 ===> FIX alias 값. 주문 지시를 하는 계좌를 정해주며, 사전에 buy-sell side협의.
55=005930 ===> 종목코드. 흔히 말하는 단축코드다.(KR코드 아님)
35=D ===> 주문 유형. D는 single new, E는 list new, F는 취소, G는 정정...등등...
54=1 ===> 주문 side 구분. 1=매수, 2=매도
38=4000 ===> 주문 수량.
355=msg ===> FIX 메세지
60=20110101-01:01:01 ===> 주문 시간. 근데 이건 어느 기준 시간(송신 시간인지, 수신 시간인지) 모름. 참고로 UTC기준(한국은 UTC+9)
11=J0000002-043 ===> Client Order ID. 주문의 고유 번호이다...한 시스템에서 중복되면 안됨. buy-side에서 정함.
49=CCCCCC ===> 중간 망 명
56=AAAAAA ===> 증권사 코드 (일반적으로 KRS?????)
115=BBBBBB ===> 기관 코드 (일반적으로 KRI?????)
48=KR7005930002 ===> KR코드. 옆에건 대충 쓴거임 진짜 삼전꺼 아님.
21=3 ===> 자동 주문(DMA=Bypass) 여부. 1=자동, 3=브로커 개입
나머지도 기타 등등 많은데, 꼭 필요한 내용은 일단 이정도 귀찮다